본문 바로가기
뉴욕증시 시황 분석

뉴욕증시 시황분석-스태그플레이션 공포 완화와 기술주 강세(2025년 3월 12일)

by 해운대고라니 2025. 3. 13.

1. 뉴욕증시 개요

2025년 3월 12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완화와 기술주 중심의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상승 마감했습니다. 특히 나스닥지수는 1.22%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82.55포인트(0.20%) 하락, 41,350.93 마감
  •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27.23포인트(0.49%) 상승, 5,599.30 마감
  • 나스닥종합지수: 212.35포인트(1.22%) 상승, 17,648.45 마감

2025년 3월 12일, 뉴욕증시 시황분석


2. 상승 요인 분석

2-1.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둔화

이날 발표된 미국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며 둔화세를 보였습니다.

  • 2월 CPI: 전월 대비 0.2% 상승 (예상치 하회)
  • 전년 동기 대비: 2.8% 상승 (1월의 3.0%보다 둔화)
  • 근원 CPI: 전월 대비 0.2% 상승 (전월 0.4% 상승 대비 둔화)
  • 근원 CPI 전년 동기 대비: 3.1% 상승 (1월의 3.3%보다 낮음)

이러한 물가 둔화 소식은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이 동시에 발생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를 완화시켜 투자심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2-2. 기술주 저가 매수세 유입

상대적으로 낙폭이 컸던 기술주 중심으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나스닥지수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매그니피센트7' 중 애플을 제외한 모든 종목이 상승 마감했습니다.

  • 테슬라: +7.59%
  • 엔비디아: +6.43%
  • 메타: +2%대 상승
  • 아마존: +2%대 상승
  • 알파벳: +2%대 상승
  • 애플: -1.75%

3. 하락 요인 및 불확실성

3-1. 트럼프발 관세 강행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강행 정책은 여전히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철강·알루미늄 수입품: 25% 관세 발효
  • 캐나다: 미국 상품 200억 달러에 25% 보복 관세 부과 계획
  • 유럽연합(EU): 4월부터 미국산 수입품 283억 달러에 상호 관세 부과 예정

이러한 관세 정책은 미국 경제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투자자들의 우려를 사고 있습니다.


4. 뉴욕증시 향후 전망

4-1. 물가 추이와 연준 정책 주목

2월 CPI 둔화로 인해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 변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향후 발표될 경제 지표에 따라 시장의 방향성이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 물가 안정 여부: 지속적인 물가 둔화가 관건
  •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 물가 안정과 경제성장률 둔화가 병행될 경우 인하 가능성 존재

4-2. 글로벌 무역 갈등 주의

트럼프발 관세 정책으로 인한 글로벌 무역 갈등이 지속될 경우,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캐나다와 EU의 보복 관세가 본격화될 경우 미국 수출기업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5. 투자자 전략 제안

  • 기술주 중심의 투자: 현재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는 기술주는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특히 테슬라, 엔비디아와 같은 성장주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 관세 관련 리스크 관리: 철강 및 알루미늄 업종과 관세 이슈가 영향을 미칠 업종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 경제지표 주시: 향후 발표될 CPI, 고용지표 등 주요 경제지표를 주목하여 시장의 흐름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글의 마무리

이번 뉴욕증시의 상승은 2월 CPI 둔화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완화와 기술주 저가 매수세 덕분이었습니다. 그러나 트럼프발 관세 정책으로 인한 글로벌 무역 갈등은 여전히 시장의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향후 경제지표와 무역 정책 변화를 면밀히 관찰하며 신중한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