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뉴욕증시 개요
21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유연한 대응 언급으로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주식 옵션, 지수 선물, 지수 옵션, 개별 주식 선물이 동시에 만기되는 '쿼드러플 위칭(Quadruple Witching)'일과 맞물려 변동성이 컸던 하루였습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DJIA)는 전장 대비 32.03포인트(0.08%) 상승한 41,985.35에 거래를 마쳤으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4.67포인트(0.08%) 오른 5,667.56에 마감했습니다. 나스닥종합지수는 92.43포인트(0.52%) 상승한 17,784.05를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강한 반등세를 보였습니다.

2. 뉴욕증시 주요 지수 동향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DJIA)
다우지수는 장중 내내 하락세를 보이다가 장 후반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이 전해지면서 상승 반전에 성공했습니다. 특히,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이 미 정부의 차세대 전투기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3% 이상 급등한 것이 다우지수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S&P500지수도 장 후반 반등에 성공하며 소폭 상승 마감했습니다. 시장 전반적으로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되었으나, 기술주와 일부 산업재의 상승세가 지수 상승을 도왔습니다.
나스닥종합지수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0.52% 상승하며 주요 지수 중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테슬라의 급등(5.27%)과 애플(1.95%), 마이크로소프트(1.14%) 등의 상승이 지수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3. 트럼프 관세 정책 발언과 시장 반응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원칙은 바뀌지 않지만 유연성은 매우 중요한 단어"라며 "관세에는 유연성이 있을 것이고, 기본적으로는 상호주의적"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발언은 최근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긴장이 다시 고조되는 가운데 나온 것으로, 시장에서는 이를 긍정적으로 해석하며 반등을 이끌었습니다.
4. 주요 종목별 동향
보잉(Boeing, BA)
미국 정부의 차세대 전투기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주가가 3% 이상 급등했습니다. 이는 방산 및 항공 관련 업종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록히드마틴(Lockheed Martin, LMT)
차세대 전투기 사업을 보잉에 빼앗기면서 주가는 6% 가까이 급락했습니다.
테슬라(Tesla, TSLA)
최근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였던 테슬라는 이날 5.27% 급등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다시 끌었습니다. 최근 전기차 시장에 대한 우려가 컸지만,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주가가 반등했습니다.
매그니피센트7(Magnificent 7)
- 애플(AAPL): +1.95%
- 마이크로소프트(MSFT): +1.14%
- 아마존(AMZN): +0.65%
- 알파벳(GOOGL): +0.73%
- 메타(META): +1.75%
- 엔비디아(NVDA): -0.7% (유일한 하락)
특히 엔비디아는 최근 AI 반도체 시장의 강세에도 불구하고 차익 실현 매물 출회로 인해 소폭 하락했습니다.
5. 시장 전망 및 투자 전략
향후 시장 변수
- 미국 연준의 금리 정책
- 시장에서는 올해 두 차례의 금리 인하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질 경우 증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무역 정책 및 지정학적 리스크
-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유동적이라는 점은 긍정적인 신호이나, 여전히 시장에는 불확실성이 남아 있습니다.
- 기술주 중심의 시장 흐름
- AI와 반도체 관련 주식들의 흐름이 시장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추천 투자 전략
- 기술주 중심의 장기 투자: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과 같은 빅테크 기업은 지속적인 성장성이 기대됩니다.
- 방산 및 항공 산업 주목: 보잉의 수주 확대와 방산 관련 예산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관련 종목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 금리 인하 대비 채권 및 배당주 투자: 금리 인하 시 채권과 배당주가 매력적인 투자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글의 마무리
이번 뉴욕증시의 반등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유연한 입장 표명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다우지수는 보잉의 상승으로 소폭 반등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상대적으로 강한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앞으로 연준의 금리 정책과 무역 이슈가 시장 변동성을 좌우할 것으로 보이며,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수를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뉴욕증시 시황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욕증시 시황분석-경기둔화 우려 속에서도 유연한 관세 기대감 지속(2025년 3월 25일) (3) | 2025.03.26 |
---|---|
뉴욕증시 시황분석-유연해진 트럼프 관세에 강세장 연출(2025년 3월 24일) (1) | 2025.03.25 |
뉴욕증시 시황분석-스태그플레이션 공포와 시장 동향(2025년 3월 20일) (2) | 2025.03.21 |
뉴욕증시 시황 분석-연준 '연내 2회 금리 인하' 유지에 반등(2025년 3월 19일) (1) | 2025.03.20 |
뉴욕증시 시황분석-美 금리결정 앞두고 하락세 지속(2025년 3월 18일) (4)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