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내 증시 개요
2025년 4월 2일, 국내 주식시장은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에 대한 경계감으로 인해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의 변동, 주요 업종 및 종목의 움직임, 그리고 시장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2. 코스피 지수 동향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53포인트(0.62%) 하락한 2,505.86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지수는 전장보다 4.23포인트(0.17%) 오른 2,525.62로 출발하여 강보합세를 보였으나, 이후 하락 전환하여 2,500선을 내줬습니다. 장중 한때 2,530선을 회복하기도 했지만, 장 후반 다시 하락폭을 키웠습니다.
1)투자자별 매매 동향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7,274억 원을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주도했습니다. 반면, 개인과 기관은 각각 4,783억 원, 1,479억 원을 순매수하며 지수를 방어하려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특히, 외국인은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도 1조873억 원을 순매도하며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2)업종별 매매 동향
- 하락 업종: 화학(-1.76%), 제약(-1.63%), 전기전자(-0.19%) 등이 하락했습니다.
- 상승 업종: 증권(0.43%), 음식료(0.30%) 등은 상승했습니다.
3)주요 종목 동향
▶하락 종목:
- 현대차(-1.16%)
- 기아(-1.18%)
- 삼성바이오로직스(-0.76%)
- 셀트리온(-2.92%)
- 한화에어로스페이스(-1.49%)
- 현대로템(-6.52%)
- LIG넥스원(-2.90%)
▶상승 종목:
- SK하이닉스(0.46%)
- LG에너지솔루션(0.30%)
- KB금융(1.13%)
- 신한지주(1.25%)
- 한국콜마(3.23%)
- 아모레퍼시픽(2.55%)
특히, 올해 1분기 화장품 수출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는 소식에 화장품주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3. 코스닥 지수 동향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6.60포인트(0.95%) 하락한 684.85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지수는 전장보다 3.92포인트(0.57%) 상승한 695.37로 출발하여 강보합세를 보이다가 하락세로 전환한 후, 장 후반 낙폭을 키웠습니다.
1)투자자별 매매 동향
코스닥시장에서 외국인은 2,672억 원을 순매도했습니다. 반면, 개인과 기관은 각각 2,513억 원, 269억 원을 순매수하며 시장을 방어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2)주요 종목 동향
- 하락 종목:
- 에코프로비엠(-4.60%)
- 에코프로(-2.68%)
- 알테오젠(-2.42%)
- HLB(-2.24%)
- 리가켐바이오(-4.75%)
- 코오롱티슈진(-3.98%)
- 상승 종목:
- 레인보우로보틱스(1.33%)
- 휴젤(2.29%)
- 삼천당제약(0.57%)
- 리노공업(0.42%)
- 클래시스(4.66%)
- 원텍(3.60%)
- 하이로닉(6.73%)
미용기기주인 클래시스, 원텍, 하이로닉 등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4. 시장 영향 요인
1)미국 상호관세 발표에 대한 경계감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 시간으로 4월 3일 오전 5시에 상호관세를 발표할 예정이었습니다. 관세의 규모나 범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시장에서는 이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습니다. 이러한 경계감이 투자심리를 위축시키며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2)미국 경제지표 부진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의 3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시장 예상치를 밑돌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켜 국내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5. 외환시장 동향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5.3원 내린 1,466.6원을 기록했습니다. 원화 강세는 수출 기업의 가격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어 증시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글의 마무리
2025년 4월 2일 국내 증시는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에 대한 경계감과 미국 경제지표 부진 등의 요인으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외국인의 대규모 순매도가 지수 하락을 주도했으며, 자동차, 바이오, 방산주 등이 약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화장품주와 일부 금융주는 상승세를 나타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시장 변동성에 대비하여 신중한 투자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내증시 시황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증시 시황분석, 2025년 4월 4일 코스피 및 코스닥 동향 (8) | 2025.04.04 |
---|---|
국내증시 시황분석, 2025년 4월 3일 코스피 및 코스닥 동향 (5) | 2025.04.03 |
국내증시 시황분석, 2025년 4월 1일 코스피 및 코스닥 동향 (1) | 2025.04.01 |
국내증시 시황분석, 2025년 3월 31일 코스피 및 코스닥 동향 (4) | 2025.03.31 |
국내증시 시황분석, 2025년 3월 28일 코스피 및 코스닥 동향 (5)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