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욕증시 시황 분석

뉴욕증시 시황분석-상호관세 앞두고 혼조 마감(2025년 3월31일)

by 해운대고라니 2025. 4. 1.

1. 미국 뉴욕증시 개요

2025년 3월 3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부과 발표 예정일(4월 2일)을 앞두고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417.86포인트(1.00%) 상승한 42,001.76을 기록했으며, S&P 500 지수는 30.91포인트(0.55%) 오른 5,611.85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3.70포인트(-0.14%) 하락한 17,299.29로 마무리되었습니다.

2025년 4월1일 미국 뉴욕 증시 시황 분석


2. 증시 혼조세의 원인

1)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정책

트럼프 행정부가 4월 2일 국가별 상호 관세 부과를 발표할 예정이라는 소식이 시장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백악관 대변인 캐롤라인 레빗은 "이제는 상호주의의 시간"이라고 밝혔으나, 관세 부과 대상 국가나 세부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미국의 무역 정책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2) 안전자산 선호 심리 증가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날 국제 금값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온스당 3,160달러까지 상승했습니다. 또한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4.27%에서 4.24%로 하락하며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반영했습니다.

3) 변동성 증가 및 경기침체 우려

미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변동성지수(VIX)는 22.28로 2.91% 상승하며 시장의 불안감을 나타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미국의 경기침체 확률을 20%에서 35%로, JP모건은 30%에서 40%로 각각 상향 조정했습니다. 프리덤캐피털마켓의 제이 우즈 수석 글로벌 전략가는 "우리는 관세 부과 이후 시장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예측할 수 없는 상태"라며 패닉 매도(투매)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3. 주요 업종별 증시 동향

1)상승한 업종

  1. 방위산업 및 제조업: 정부의 보호무역 정책으로 인해 방산 및 제조업 관련주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에너지 업종: 국제 유가 상승에 따라 엑손모빌(ExxonMobil)과 셰브런(Chevron) 등의 주가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금 관련주: 금값 상승으로 인해 금 채굴 관련 주식들도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2)하락한 업종

  1. 기술주: 나스닥 지수 하락에 따라 대형 기술주들이 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애플(Apple)과 엔비디아(NVIDIA) 등 반도체 및 IT 관련 종목들이 부진했습니다.
  2. 소비재 업종: 소비 심리 위축과 경기 침체 우려로 인해 주요 소비재 기업들의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4. 국제 유가 및 원자재 시장 동향

국제 유가는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미 동부시간 오후 3시 50분 기준으로

  •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2.11% 상승한 배럴당 71.47달러
  • 5월 인도분 브렌트유 가격은 2.72% 상승한 배럴당 74.74달러에 거래되었습니다.

이는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불안과 OPEC의 감산 정책 지속 가능성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5. 향후 증시 전망 및 투자 전략

1) 단기 전망

  • 4월 2일 발표될 상호관세 정책의 내용이 시장 방향성을 결정할 가능성이 큽니다.
  • 변동성이 높은 장세가 예상되므로, 리스크 관리가 중요한 시점입니다.

2) 투자 전략

  1. 안전자산 비중 확대: 금, 국채, 방위산업 관련 주식에 대한 관심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2. 경기 방어주 중심 투자: 소비재 및 헬스케어 업종의 종목들은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기술주 조정 시 매수 기회 포착: 나스닥 하락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 유망한 AI 및 반도체 관련주들은 매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글의 마무리

2025년 3월 31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상호관세 정책 발표를 앞두고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금값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국제 유가도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향후 투자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과 글로벌 경제 동향을 면밀히 관찰하며 신중한 투자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습니다.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는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