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증시 시황 분석

국내증시 시황분석, 2025년 3월 24일 코스피 및 코스닥 동향

by 해운대고라니 2025. 3. 24.

1. 국내 증시 개요

2025년 3월 24일 국내 증시는 반도체주의 약세로 인해 코스피가 6거래일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외국인의 현물 순매수 규모가 크게 줄어든 가운데, 코스피 거래대금도 직전 거래일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반면, 코스닥은 강보합세를 보이며 일부 바이오주와 엔터주가 상승했다.

2025년 3월 24일 코스피 및 코스닥 국내증시 시황 분석 동향

2. 코스피 시황

(1) 주요 지수 변동

  • 코스피는 전장 대비 11.06포인트(-0.42%) 하락한 2,632.07에 마감했다.
  • 장 초반 2,636.43에서 출발했으나, 약보합세를 이어가다 장중 강보합을 기록했으나, 다시 하락 전환했다.

(2) 주요 원인 분석

  1. 반도체주 약세: 마이크론테크놀로지의 급락 영향으로 삼성전자(-1.94%)와 SK하이닉스(-1.86%)가 4거래일 만에 하락.
  2. 외국인 매수세 둔화: 외국인 순매수 규모가 21일(8,480억 원) 대비 61억 원으로 대폭 축소되었으며, 코스피200선물 시장에서는 3,813억 원 순매도.
  3. 국내 정치 리스크 완화와 글로벌 불확실성: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소추 기각 소식이 전해지면서 한때 반등했으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일정 불확실성과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부담으로 작용.
  4. 거래대금 급감: 코스피 거래대금이 6조9,040억 원으로 전 거래일(14조1,880억 원) 대비 절반 이하로 감소.

(3) 업종별 흐름

  • 하락 업종: 전기전자(-1.38%), 건설(-1.41%), 제약(-1.11%)
  • 상승 업종: 화학(0.48%), 의료정밀(1.37%)

3. 코스닥 시황

(1) 주요 지수 변동

  • 코스닥지수는 전장 대비 0.81포인트(0.11%) 상승한 720.22에 마감.
  • 장 초반 721.39에서 시작하여 약보합을 보였으나 다시 상승 전환.

(2) 주요 상승 종목

  1. 바이오주 강세: HLB(15.48%) 급등, 삼천당제약(1.75%), 코오롱티슈진(1.56%) 상승.
  2. 엔터주 상승: 한중 외교수장의 문화 교류 복원 협력 소식에 에스엠(2.39%), 와이지엔터(4.07%) 상승.
  3. 자동차주 강세: 트럼프 정부의 품목별 관세 보류 소식으로 현대차(3.90%), 기아(3.13%) 강세.

(3) 주요 하락 종목

  • 이차전지주: 에코프로비엠(-3.30%), 에코프로(-1.96%)
  • 로봇주: 레인보우로보틱스(-2.08%)
  • 제약·바이오주 일부 하락: 휴젤(-1.20%)

(4) 거래대금 감소

  • 코스닥 거래대금은 5조2,470억 원으로 직전 거래일(7조6,730억 원) 대비 2조4,260억 원 감소.

4. 향후 전망 및 투자 전략

(1) 단기 전망

  • 반도체주 변동성 지속 예상: 마이크론 주가 하락 여파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며, 외국인 투자자의 수급 변화가 중요 변수.
  • 정치적 불확실성: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일정 발표가 지연되면서 불확실성이 잔존.
  • 미국 관세 정책 주시: 4월 2일 미국 관세 부과 여부가 글로벌 증시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야 함.

(2) 투자 전략

  1. 경기방어주 및 배당주 비중 확대: 불확실성이 높은 장세에서는 안정적인 배당 수익이 기대되는 종목이 유리.
  2. 자동차·방산주 주목: 자동차주는 미국 관세 정책 변화로 긍정적인 흐름 예상, 방산주는 지정학적 리스크 속에서 강세 지속 가능.
  3. 반도체주 저가 매수 기회 탐색: 단기 조정이 진행되더라도 장기적으로 반도체 업황 회복 가능성이 크므로 저점 매수 고려.
  4. 엔터·바이오 업종 주목: 중국과의 문화 교류 회복 기대감으로 엔터주는 추가 상승 가능성, 바이오주는 개별 호재에 따라 변동성 활용.

글의 마무리

3월 24일 국내 증시는 반도체주의 약세와 외국인 투자자의 소극적인 매수세로 인해 코스피가 6거래일 만에 하락했다. 그러나 자동차주와 방산주는 강세를 보이며 시장의 변동성을 일부 완화했다. 코스닥 시장은 강보합을 보였으며, 바이오주와 엔터주가 상승세를 이끌었다. 향후 증시는 미국의 관세 정책 및 국내 정치적 변수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므로 방어적인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배당주, 자동차 및 방산주, 저평가된 반도체주에 대한 선별적 접근이 유효한 전략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