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증시 시황 분석

국내증시 시황분석, 2025년 3월 25일 코스피 및 코스닥 동향

by 해운대고라니 2025. 3. 25.

1. 국내 증시 개요

코스피 하락, 강달러와 정치 불확실성이 주요 원인

2025년 3월 25일, 국내 증시는 약세를 보이며 마감했습니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6.26포인트(-0.62%) 하락한 2,615.81로 마무리되었으며, 코스닥도 1.24% 하락하며 711.26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강달러 현상과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며 시장 하락을 부추겼습니다.

2025년 3월 25일 국내증시 시황분석

 

2. 시장 개요 및 주요 원인

1) 글로벌 시장 영향

전날 뉴욕증시는 미국 3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시장 예상치를 웃돌면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또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일부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 면제 가능성을 시사하며 무역 긴장감이 다소 완화되었으나, 여전히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반면, 아시아 증시는 혼조세를 나타냈습니다.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0.46% 상승했으나,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12% 하락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습니다.

2) 원화 약세 및 외국인 자금 유출

환율 측면에서 보면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1.5원 오른 1,469.2원을 기록하며 강달러 흐름을 유지했습니다. 장중 한때 1,470원을 돌파하기도 하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이탈을 가속화했습니다. 이날 외국인은 7거래일 만에 코스피 시장에서 순매도로 전환하며 746억 원을 매도했습니다. 반면 기관투자자는 682억 원을 순매수하며 시장을 방어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3. 업종 및 종목별 동향

1) 하락 종목 및 업종

삼성전자(-1.16%)는 한종희 부회장의 갑작스러운 사망 소식과 함께 6만 원 선을 내주며 4거래일 만에 하락했습니다. SK하이닉스(-1.65%)도 21만 원선을 반납하며 약세를 보였습니다. 그 외에도 한화에어로스페이스(-3.11%), 현대로템(-8.82%), HD현대중공업(-3.85%) 등의 방산 및 조선 관련주들이 하락세를 나타냈습니다. 업종별로는 화학(-1.16%), 금융(-0.48%), 전기전자(-0.86%) 등이 약세를 기록했습니다.

2) 강세 종목 및 업종

반면, 자동차주는 강세를 보였습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대규모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했고, 이에 트럼프 대통령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현대차(+3.29%)와 기아(+2.13%)가 상승했습니다. 또한, LG에너지솔루션(+1.21%), 셀트리온(+0.49%), NAVER(+0.24%) 등이 강세를 나타냈으며, 의료정밀(0.70%), 전기가스(0.56%) 업종도 상승했습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엔터주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중국 정부의 한한령 해제 기대감이 지속되면서 YG엔터테인먼트(+3.75%)와 에스엠(+1.17%)이 상승했습니다.


4. 투자자별 동향 분석

  • 외국인: 7거래일 만에 순매도로 전환하며 코스피에서 746억 원을 매도.
  • 기관: 682억 원을 순매수하며 시장 방어.
  • 개인: 638억 원 순매도.

코스닥 시장에서는 기관이 923억 원을 순매도한 반면,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886억 원, 65억 원을 순매수했습니다.


5. 향후 전망 및 투자 전략

1) 주요 변수

  • 미국의 관세 정책: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일부 국가를 대상으로 관세 면제를 시사했으나, 4월 2일 실질적인 조치가 시행될 때까지 변동성이 예상됩니다.
  •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가 4월 중순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이 커지면서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습니다.
  • 환율 및 외국인 투자자 동향: 원화 약세가 지속될 경우 외국인 자금 유출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투자 전략

  • 안전자산 선호: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금, 달러 등 안전자산에 대한 비중 확대 고려.
  • 자동차 및 2차전지 관련주 주목: 현대차와 기아 등 자동차주가 대미 투자 수혜를 볼 가능성이 크며, LG에너지솔루션 등 2차전지 관련주도 긍정적인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
  • 엔터테인먼트 업종 강세 지속: 한한령 해제 기대감으로 엔터주들이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중국과의 관계 개선이 이어질 경우 추가 상승 가능성이 존재.

글의 마무리

2025년 3월 25일 국내 증시는 강달러와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하락 마감했습니다. 외국인이 7거래일 만에 순매도로 전환하며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고, 원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증시의 하방 압력이 커졌습니다. 다만, 현대차 및 기아를 중심으로 한 자동차주는 강세를 보이며 시장의 희망적인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앞으로도 미국 관세 정책, 국내 정치 변수, 원화 환율 등의 요인이 증시 흐름을 결정할 핵심 요소가 될 것으로 보이며, 투자자들은 변동성을 고려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